북미 이야기(57)
-
[영화] '김일성의 아이들'을 보고 - 민족과 언어
영화에 대한 단상 이 영화는 예전에 다큐멘터리로 본 적이 있던 이야기였다. 단지 전쟁 고아들을 중심으로 조금 더 심층 조사를 하고, 한 국가가 아닌 동유럽 전체를 상대로 전문가들의 견해까지 면담 형식으로 자료를 모은 것은 평가를 받을 만하다는 생각을 하였다. 무엇보다 아쉬운 것은 이야기를 끌고 가는 화자 나레이터의 목소리가 (그 분에게는 미안하지만) 너무나 내용에 비해서 떨어진다는 생각을 하지 않을 수 없었다. 또한 제목 역시 굳이 "김일성의 아이들"이라고 했어야만 하는지도 불만이었다. 충분히 작가의 의도를 알 수 있지만 그 아이들은 전쟁을 통한 우리 역사의 아픔 속에서 생겨난 이야기들이고 그들의 삶이 특정한 정치인에게 소속되었다는 사실은 매우 불편했다. 이야기는 우리 사회에서 한번씩은 음미되어야 할 주..
2020.11.09 -
미국의 무거운 역사 (10) - 마지막 전투와 항복
피터버그(Peterburg) 전투 피터버그 전투는 남북 전쟁 중 양측의 가장 중요한 장군이었던 북부의 Grant 와 남부 Lee 장군이 직접 지휘관으로서 맞붙은 싸움이기도 하다. 이 지역에서의 전투는 1864년 6월에서 1865년 4월까지 수 차례 걸쳐서 일어났다. 남부군은 비록 1963년 7월 게티스버그에서 치명적인 패배를 하였지만 어떻게 해서든 제한적인 승리를 통해서 유리한 휴전 협정을 만들고 싶어했으며, 북부군은 게티스버그 이후 남북 전쟁을 완전히 마무리하고자 총 공격을 위한 전열을 가다듬고 있었다. 링컨 대통령은 서부 전역에서의 빅스버그 함락을 성공한 그랜트 장군을 북부군의 총 사령관으로 임명하고, 동부 전선의 지휘를 맡은 그랜트 장군은 자기를 대신하여 서부 지역은 셔먼 (William Tecum..
2020.11.01 -
미국의 무거운 역사 (9) - 게티스버그 연설
게티스버그 연설 사실 이 연설문은 한국에서 자란 우리 세대에게도 매우 익숙해진 문장이기도 하다. 고등학교 때 한번씩은 공부한 성문종합이라는 영어 참고서에 이 글이 있어서 글에 대한 이해 여부를 떠나서 한번씩은 들어본 문장이고 특히 마지막 '국민에 국민을 위한 국민의" 문장은 여러가지 다른 매체에서 인용되기도 한 문장이다. 이 연설문에 대한 다양한 평가가 존재하지만, 영어의 모국어 고향인 영국에서 이 연설문에 대한 평가를 들어보는 것은 흥미롭다. 그 중 옥스퍼드 대학 총장이었던 커즌 경(George Curzon)이 1913년 대학에서 한 발표 중 링컨 대통령의 이 연설을 어떻게 평가했는지 들어보자. "연설문을 '더욱' 자세히 분석할 수록, 단어의 선정, 사고의 섬세함, 간결함, 직접적인 표현 그리고 문장의..
2020.10.29 -
미국의 무거운 역사 (8) - 게티스버그 전투
게티스버그 전투 (Gettysburg) 게티스버그 전투는 남북 전쟁에서 가장 중요한 전환점을 기록한 전투로 기록되며 이 전투 이후 남부군은 북부를 공격할 수 있는 충분한 병력을 가질 수 없었다. 게티스버그 전투의 큰 그림을 보기 위해서는 이 전투의 앞 뒤에 있었던 챈슬러빌 전투와 빅스버그 전투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2개월 전 챈슬러빌 전투에서 승리를 했지만 잭슨 장군을 잃은 리 장군은 서부 전역에서 빅스버그가 함락될 위험에 있다는 위기 의식으로 동부전선에서 북부로 공격할 결심을 하게 된다. 수도 워싱턴을 포함한 북부를 공격하는 것은 여러가지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 첫째는 전술적인 면에서 서부 전역의 빅스버그에서 북부군이 철수하도록 압박을 줄 수 있고, 또한 북부 연합 지역에서 중요한 전투 승리는..
2020.10.19 -
미국의 무거운 역사 (7) - 게티스버그 전투 전까지
노예해방선언 (Emancipation Proclamation) 남북 전쟁 직전까지 흑인 노예제도에 대한 링컨 대통령의 입장은 매우 정치적이었다. 즉 노예 해방을 '지금 당장' 무조건적으로 실시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의 노예제도는 서서히 개혁을 하면서 더 이상의 노예 제도를 확장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었다. 따라서 남부 연맹의 독립을 하려는 움직임은 노예 제도와는 상관없이 미 합중국에 대한 반역(Rebel)이며 한 치도 용인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였다. 당시 유럽의 많은 국가들은 미국의 내전 상황을 주시하고 있었는데, 링컨 대통령은 노예 해방선언에 대한 압박을 대 내외적으로 받고 있었다. 남부의 경제는 매우 힘들었지만 단합되고 있었고, 북부의 경제는 호황이었지만 매우 분열되고 혼란한 상황이었다. ..
2020.10.11 -
아제르바이잔-아르메니아 교전중지 합의
아제르바이잔-아르메니아 교전중지 합의 현재 시간으로 10월 9일(금), '나고르노-카라바흐(Nagorno-Karabakh)' 분쟁지역에서 총성이 멈추고, 아제르바이잔과 아르메니아 두 국가는 포로 교환과 사망자들의 처리를 위한 교전 중지에 합의하였다. 하지만 인접 국가들의 이해 관계와 수면 아래에 있는 이야기들은 매우 복잡하게 얽혀 있어 보인다. 9월 27일 교전 시작 후 미국, 프랑스와 러시아에서는 지속해서 양국에 대한 적대적 군사 행위를 중지할 것을 요청하였다. 현재 러시아는 아제르바이잔과 아르메니아와 두 국가 모두에 무기를 제공하는 등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으며, 이러한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 러시아의 중재로 이들의 교전 행위가 잠정적이나마 중지하게 되었다. 터키는 이러한 교전 중지는 분쟁지..
2020.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