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97)
-
캐나다 재무부 장관 사임 뉴스
2020년 8월 18일 (화) 기준으로 CBC 방송의 인기뉴스 중 상위 기사 5개 중 3개는 재무부 장관 모노(Bill Morneau, 1962-)의 사임 뉴스이다. 모노 장관은 2015년 연방 선거에서 토론토 센터 지역을 대표해서 하원의원으로 선출되었으며 현 수상인 트루도에 의해서 신임 하원의원으로는 최초 재무부 장관에 임명되는 기록을 세웠다. 모노 장관은 1962년 토론토에서 출생하였으며 웨스턴 온타리오(University of Western Ontario)대학을 졸업하였다. 그리고 프랑스 그레노블(University of Grenoble) 대학에서 1년을 지내고 경영학 전문 대학원인 INSEAD(Institut Européen d'Administration des Affaires )로부터 MBA를 ..
2020.08.18 -
결국 세금 낭비로 연결되는 캐나다 총독의 문제
총독 줄리 파옛(Julie Payette)에 대한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지금까지는 총독 공관에서 근무하는 직원들에 대해 굴욕적이고 고통스러운 업무 환경에 대한 불만의 소식이었다면, 최근 뉴스는 총독으로서 부적절한 개인 행위로 캐나다 연방 경찰(RCMP, Royal Canada Mounted Police)의 경호에 따른 비용 증가가 세금 낭비로 이어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2019-2020 년 기준으로 그녀의 경호 목적으로 사용된 비용은 대략 한화 70억($ 7.4 milion) 이상이었는데, (더 많은 해외 여행과 더 큰 규모의 경호가 있었던) 전임 총독 데비드(David Johnston)의 마지막 년도 비용과 비교해도 대략 한화 7억($700,000) 정도 더 사용되었다고 보고되었다. 무엇보다 그녀의 ..
2020.08.18 -
캐나다 보수당 리더 선거
현재 캐나다 제 1 야당인 보수당(Conservative Party) 의 리더를 결정하는 선거가 8월 23일(일)로부터 약 1주일 남아 있다. 현재 집권당인 자유당 리더인 수상 트루도에 대한 여러가지 정치적인 스캔들과 집권 2기에 대한 유권자들의 만족이 높지 않은 상황에서 야당 리더의 선출은 비교적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원래 6월에 예정되어 있던 선거는 코로나 바이러스 문제로 연기되었었고, 보수당 내부 등록된 269,469명에 의해 (마찬가지로 바이러스 문제로) 우편으로 21일까지 투표가 마감되고 23일 결과가 발표된다. 선거는 50% 이상의 유권자를 확보하는 후보가 승자가 되며, 50% 이상 유권자를 확보하지 못할 경우 최소 득표율을 가진 후보가 빠지면서 2차 3차에 걸쳐 선거가 계속된다. 현재..
2020.08.16 -
캐나다에서 본 미국 부통령 후보 - 카멀라 해리스
이곳 시간으로 2020년 8월 11일(화), 미국 민주당 후보인 바이든(Joe Biden, 1942 -)이 부통령으로 여성 정치인 카멀라 해리스(Kamala Harris, 1964 - )를 지명했다[2]. 올해 11월 3일 화요일 예정된 미국 대선에서 바이든 후보는 현재 미국 45대 대통령인 트럼프(Donald Trump, 1946 -) 의 재선을 막아내고 46대 대통령에 취임을 한다고 하더라도, 임기가 시작하는 2021년 만 79세의 나이로 미국 역사상 최고령의 나이로 대통령을 시작하는 기록을 세우게 된다. 이번 대선에 승리를 한다고 하더라도 최고령의 나이에 따른 우려와 바이든의 재선 자체도 쉽지 않은 나이라는 것을 고려할 때, 그의 런닝 메이트인 부통령 지명은 앞으로의 미국 정치계에 적지않은 변곡점이..
2020.08.13 -
오쇼 라즈니쉬 이야기 - 참고자료
비교적 적지 않은 분량의 자료를 조사하고 정리하면서 앞으로 이러한 기록들이 누군가에게는 동일한 실수를 반복하지 않게 하는 교훈으로서 가치가 있다는 바램이 들었다. 그리고 모든 자료를 정리하지는 못했지만 내가 주로 자주 참조한 내용들을 아래에 남겨둔다. 참고자료 [1] 쉴라와의 대화 (Interview with Sheela) https://www.youtube.com/watch?v=QYJEeyMb8os [2] 오리곤 공영 방송 - 라즈니쉬 공동체 (OPB broadcast) Marion Goldman, Prof. Sociology and Religious Studies (U of Oregon) https://watch.opb.org/video/oregon-experience-rajaneeshpuram/ [..
2020.08.12 -
오쇼 라즈니쉬 이야기 - 후기5(마침)
경제적 관점에서 바라본 라즈니쉬 공동체 나는 이 라즈니쉬의 이야기를 자세히 보면서 종교가 가진 수많은 모습 중.. 비지니스로서의 종교에 대한 생각을 하지 않을 수 없었다. 항상 처음에는 진리와 삶의 고통에서 해답을 얻으려는 많은 민중들의 갈구 속에서, 처음에는 어떠한 순수한 위안을 주는 종교적인 가르침이 많은 대중들에 의해 선택되고 더욱 더 많은 사람들이 모이게 된다. 항상 그러한 모임이 커지고 공동체가 단순한 말과 가르침으로만 더 이상 유지되기 힘들 때 그들은 사업성을 검토하지 않을 수 없고 세상의 정치 사회적 경제 영역에 들어오게 된다. 역설적이게도 처음에는 민중들에 의해 선택된 그 종교가 세속화가 되면 될수록 그 구성원들은 (마르크스가 자본에 의해 노동자가 처하게 된다고 주장한 바로 그) '소외'가..
2020.08.12